티스토리 뷰
≣ 목차
주식 시장에서 갑작스러운 급등락이 발생하면, 시장의 과열이나 공황을 잠재우기 위해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제도들이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사이드카(Sidecar)입니다.
🔍사이드카란 무엇인가요?
사이드카는 파생상품(선물) 시장의 급격한 변동이 현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즉, 선물 가격이 갑자기 오르거나 떨어질 경우, 시장의 과도한 반응을 막기 위해 프로그램 매매를 잠시 정지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이 제도는 마치 오토바이 옆에 달린 보조장치처럼, 메인 거래(현물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보조 시스템이라는 의미에서 '사이드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사이드카 발동 조건은?
한국 주식 시장에서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모두에 사이드카 제도가 적용됩니다.
단, 발동 조건은 약간 다릅니다.
- 코스피(KOSPI) 기준:
- 프로그램 매수 또는 매도 호가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
- 1분 이상 지속 시 발동
- 5분간 프로그램 매매 효력 정지 - 코스닥(KOSDAQ) 기준:
- 코스닥150 선물 가격이 ±6% 이상 변동
- 1분간 지속 시 발동
- 5분간 프로그램 매매 정지
즉, 선물 시장이 지나치게 출렁이면, 사이드카가 발동되어 프로그램 매매를 제한함으로써 현물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는?
많은 분들이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를 혼동하시기도 합니다. 둘 다 일시적으로 시장을 멈추는 장치이지만, 적용 범위와 강도가 다릅니다.
구분 | 사이드카 | 서킷브레이커 |
적용 대상 | 파생시장 기반, 프로그램 매매만 제한 | 현물시장 전체 정지 |
발동 기준 | 1분간 ±5% 이상(코스피 기준) | 코스피지수 ±8% 이상 |
정지 시간 | 5분 | 최대 20분 이상 |
목적 | 과열된 프로그램 매매 억제 | 시장 전체의 공황 진정 |
정리하자면, 사이드카는 부분적 제어 장치, 서킷브레이커는 시장 전체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긴급 제동장치입니다.
📈 투자자가 알아야 할 점
사이드카가 발동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에 큰 변동성이 발생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단기적인 매수/매도보다는 냉정하게 시장을 관찰하고 리스크를 조절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자의 자세입니다.
✅ 마무리
'사이드카'는 시장이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단순한 일시정지 제도가 아닌, 투자자 보호를 위한 완충 장치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앞으로도 주식 용어를 쉽게 풀어드리는 정보성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